게임스탑 주식 급등 사태, 영화보다 더 영화 같은 이야기
월가의 거대 헤지펀드를 무릎 꿇게 한 평범한 개미투자자들의 반란, 그 실화를 아직도 모르시나요?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2021년 초에 일어났던, 금융 역사에 한 획을 그은 놀라운 사건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지난 주말에 '덤 머니'라는 영화를 봤는데, 바로 이 게임스탑 사태를 다룬 영화더라구요. 영화를 보는 내내 '이게 실화라니!' 하면서 입이 다물어지지 않았어요. 그래서 그 날 밤 바로 자료를 찾아보고 정리해봤는데, 이 이야기가 단순한 주식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 시대의 중요한 사회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오늘은 그 미친 듯한 사건의 전말을 제 나름대로 정리해서 들려드릴게요!
목차
게임스탑은 어떤 회사였나: 위기의 배경
게임스탑(GameStop)은 미국의 비디오 게임, 게임 주변기기, 게임 관련 상품을 판매하는 소매 체인점이에요. 한때는 쇼핑몰마다 꼭 하나씩은 있을 정도로 번창했던 회사죠. 저도 미국 여행 갔을 때 들러본 적이 있는데, 우리나라로 치면 예전의 '플레이스테이션' 같은 오프라인 게임 판매점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근데 이 회사가 2010년대 중반부터 심각한 위기에 처하기 시작했어요. 왜 그랬을까요? 디지털 시대로 접어들면서 게임 산업 환경이 급격히 변했거든요. 스팀(Steam), 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엑스박스 라이브 등 디지털 다운로드 플랫폼이 발달하면서 굳이 CD나 카트리지를 사러 오프라인 매장에 갈 필요가 없어진 거죠.
거기에 아마존 같은 온라인 쇼핑몰의 성장과 코로나19 팬데믹까지 겹치면서 게임스탑의 사업 모델은 심각한 타격을 입었습니다. 매출은 계속 감소하고, 수백 개의 매장을 폐쇄해야 했죠. 많은 전문가들은 게임스탑이 곧 망할 것이라 예측했고, 이는 주가에도 그대로 반영되었어요.
"게임스탑은 현대판 블록버스터다. 새로운 시대에 적응하지 못하고 곧 사라질 공룡 기업이다." - 모 월가 분석가의 말
2020년 초에는 주가가 $3~4 수준까지 떨어졌어요. 생각해보세요. 한때 번창했던 기업의 주식이 커피 한 잔 값도 안 되는 가격이 된 거죠. 이런 상황에서 많은 헤지펀드들은 게임스탑의 주가가 더 떨어질 것이라 베팅하기 시작했습니다. 바로 '공매도(short selling)'를 통해서요.
레딧 월스트리트베츠: 개미들의 집결지
이제 이야기의 전환점이 되는 중요한 커뮤니티를 소개할게요. 바로 레딧(Reddit)의 '월스트리트베츠(WallStreetBets)'라는 포럼입니다. 이곳은 주식 투자에 관심 있는 일반인들이 모여 정보를 교환하고, 때로는 위험한 베팅을 권장하며, 자신들의 투자 성공과 실패를 공유하는 공간이에요.
이 커뮤니티는 평범한 투자 포럼과는 달리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가지고 있었어요. 자신들을 '진짜 멍청이들(retards)'이라 부르고, 큰 손실을 보여주는 게시물에 열광하며, '다이아몬드 핸즈'(절대 팔지 않고 버티는 투자자)라는 용어를 만들어냈죠. 우리나라로 치면 고급 정보 공유보다는 짤방과 드립이 난무하는 디시인사이드나 에펨코리아 같은 분위기랄까요?
하지만 이 '미친' 커뮤니티에서 게임스탑에 관한 중요한 논의가 시작됩니다. 유저 '키스_마이_애스프_비치(Keith Gill)'의 닉네임으로 활동하던 한 개인 투자자가 게임스탑 주식이 저평가되어 있다는 분석을 올리기 시작한 거죠. 그는 실명인 '키스 길(Keith Gill)'로도, 또 다른 유튜브 채널에서는 'Roaring Kitty'라는 이름으로도 활동했어요.
키스 길은 게임스탑이 새로운 비디오 게임 콘솔 사이클의 시작과 함께 회복할 가능성이 있으며, 무엇보다 헤지펀드들의 과도한 공매도가 역설적으로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어요. 그리고 그 주장을 증명하기 위해 자신이 직접 게임스탑에 상당한 투자를 했다는 증거도 공유했죠.
월스트리트베츠 주요 용어 | 의미 | 예시 |
---|---|---|
YOLO (You Only Live Once) | 전 재산을 하나의 주식에 투자하는 극단적 베팅 | "대출 받아서 GME YOLO 했다!" |
Diamond Hands (다이아몬드 핸즈) | 손실이 나도 주식을 팔지 않고 버티는 강한 의지 | "80% 하락해도 💎✋ 유지 중" |
Paper Hands (페이퍼 핸즈) | 약간의 손실이나 이익에도 쉽게 팔아버리는 나약한 투자자 | "10% 올랐다고 다 팔아버린 종이손놈들" |
Tendies (텐디즈) | 투자로 얻은 이익, 현금(치킨 텐더에서 유래) | "오늘 텐디즈 잔뜩 벌었다!" |
To the Moon (투 더 문) | 주가가 엄청나게 오를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 | "GME 🚀🚀🚀 달까지 가자!" |
Apes Together Strong (함께하는 원숭이들은 강하다) | 개인 투자자들이 단결하면 월가에 맞설 수 있다는 구호 | "헤지펀드 때려잡자! 🦍💪" |
초기에는 그의 포스팅이 많은 관심을 받지 못했지만, 천천히 게임스탑 주식에 대한 논의가 커뮤니티 내에서 확산되기 시작했어요. 특히 2020년 9월, 유명 투자자 마이클 버리(Michael Burry, 영화 '빅쇼트'의 실제 주인공)가 게임스탑에 투자했다는 소식이 알려지며 신뢰도가 높아졌죠.
숏스퀴즈의 메커니즘: 어떻게 주가가 폭등했나
자, 이제 이 드라마의 핵심 메커니즘인 '숏스퀴즈(Short Squeeze)'에 대해 알아볼까요? 이걸 이해해야 어떻게 게임스탑 주가가 천정부지로 치솟았는지 알 수 있어요.
먼저 '공매도(Short Selling)'가 뭔지 간단히 설명할게요. 공매도는 주식 가격이 떨어질 것이라고 예상할 때 사용하는 투자 전략이에요. 투자자는 주식을 빌려서 시장에 팔고, 나중에 더 낮은 가격에 다시 사서 돌려주는 방식이죠. 가격 차이가 이익이 됩니다.
예를 들어, 헤지펀드가 게임스탑 주식을 $20에 빌려서 판 다음, 주가가 $5로 떨어지면 그때 사서 돌려주면 $15의 이익을 보는 거예요. 근데 만약 예상과 달리 주가가 오르면 어떻게 될까요? 그럼 손실을 보게 되겠죠. 빌린 주식은 언젠가는 꼭 돌려줘야 하니까요.
- 과도한 공매도 상황: 게임스탑의 경우, 헤지펀드들이 너무 많은 공매도 포지션을 취했어요. 놀랍게도 유통 주식의 140%가 공매도된 상태였습니다. 이는 빌려준 주식을 또 다시 빌려서 공매도하는 식으로, 실제 존재하는 주식보다 더 많은 양의 공매도가 이루어졌다는 의미예요.
- WSB의 발견: 월스트리트베츠 유저들은 이 과도한 공매도 상황을 발견하고, 여기서 기회를 포착했습니다. 만약 충분히 많은 사람들이 게임스탑 주식을 사서 가격을 올리면, 공매도 헤지펀드들은 엄청난 손실을 보게 되고 결국 손실을 줄이기 위해 주식을 구매해야 하는 상황이 올 거라고 생각했죠.
- 숏스퀴즈 발동: 실제로 이 계획은 작동했어요. 게임스탑 주식을 사려는 사람들이 늘어나자 가격이 오르기 시작했고, 이에 공매도 투자자들은 손실을 줄이기 위해 주식을 사들이기 시작했습니다. 이것이 주가를 더욱 올리는 결과를 가져왔고, 또 다른 공매도 투자자들이 주식을 구매하게 만들었죠. 이런 연쇄 반응을 '숏스퀴즈'라고 합니다.
- 감마스퀴즈 추가: 여기에 '감마스퀴즈(Gamma Squeeze)'라는 또 다른 현상이 더해졌어요. 많은 WSB 유저들이 게임스탑의 콜옵션(주가가 오를 것에 베팅하는 파생상품)을 구매했는데, 이로 인해 옵션을 판매한 중개업자들이 위험 헤지를 위해 실제 주식을 구매하게 되면서 가격이 더욱 상승했습니다.
이런 과정을 거쳐 게임스탑 주식은 2021년 1월 한 달 사이에 $17에서 무려 $483까지 폭등했어요. 그러니까 불과 몇 주 만에 2,800% 이상 상승한 거죠! 이건 정말 금융 역사상 보기 드문 일이었습니다.
재미있는 점은 이 모든 일이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자생적으로 시작되었다는 거예요. 중앙화된 조직이나 리더 없이, 수백만 명의 개인 투자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한 '집단행동'이었죠. 이런 현상은 소셜 미디어와 온라인 거래 플랫폼이 발달한 현대에만 가능한 일이었을 겁니다.
이 드라마의 주요 인물들
모든 드라마에는 주인공과 악역이 있죠. 게임스탑 사태도 마찬가지예요. 이 역사적인 사건을 이끈 주요 인물들을 소개해드릴게요.
영웅들 (개미 투자자들 편)
키스 길(Keith Gill) - 이 모든 일의 시작점이 된 인물이에요. 레딧에서는 'DeepFuckingValue'(줄여서 DFV), 유튜브에서는 'Roaring Kitty'라는 닉네임으로 활동했죠. 그는 원래 매사추세츠 상호보험회사에서 재정 교육자로 일하던 평범한 직장인이었어요. 2019년부터 게임스탑 주식이 저평가되었다는 분석을 공유하기 시작했고, 자신도 약 5만 달러를 투자했죠. 그의 투자 가치는 결국 최고점에서 4,800만 달러(약 540억원)까지 치솟았습니다. 그는 월가의 전문가들보다 더 정확한 분석을 했다는 점에서 '천재 투자자'로 추앙받았어요.
라이언 코헨(Ryan Cohen) - 온라인 펫샵 'Chewy'의 공동 창업자로, 2020년 게임스탑의 주요 주주가 되었어요. 그는 게임스탑을 디지털 기업으로 전환시키려는 비전을 제시했고, 이후 이사회에 합류했습니다. 그의 참여는 키스 길의 투자 논리에 신뢰성을 더해줬고, 많은 투자자들이 게임스탑의 미래에 희망을 갖게 만들었죠.
마이클 버리(Michael Burry) - '빅 쇼트'의 실제 주인공으로 2008년 금융위기를 예측했던 전설적인 투자자죠. 그도 2019년 게임스탑에 투자했는데, 이것이 WSB 커뮤니티의 관심을 끄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다만 그는 주가가 급등하기 전에 이미 자신의 지분을 팔았다고 알려져 있어요.
악역들 (월가 헤지펀드 편)
멜빈 캐피탈(Melvin Capital) - 게이브 플롯킨(Gabe Plotkin)이 운영하던 헤지펀드로, 게임스탑에 대규모 공매도 포지션을 취했던 주요 기관이에요. 숏스퀴즈로 인해 약 65억 달러의 손실을 입었고, 결국 2022년 6월에 완전히 문을 닫았습니다. 짧은 시간에 천문학적인 손실을 입은 헤지펀드의 상징적인 사례가 되었죠.
시타델(Citadel LLC) - 켄 그리핀(Ken Griffin)이 이끄는 대형 헤지펀드로, 멜빈 캐피탈에 긴급 자금을 제공했어요. 또한 시타델 증권(Citadel Securities)은 로빈후드의 주문을 처리하는 마켓 메이커로, 이로 인해 로빈후드가 게임스탑 거래를 제한했을 때 음모론의 중심에 서게 되었습니다.
로빈후드(Robinhood) - 블라디미르 테넵(Vladimir Tenev)이 CEO로 있는 이 투자 앱은 많은 WSB 유저들이 게임스탑 주식을 거래하는 플랫폼이었어요. 그러나 2021년 1월 28일, 갑자기 게임스탑과 다른 '밈 주식'의 매수를 제한해 큰 논란을 일으켰죠. 로빈후드는 청산소 요구사항 때문이라고 해명했지만, 많은 사람들은 이것이 월가 친구들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라고 의심했습니다.
사태 이후: 금융 시장의 변화
게임스탑 사태는 단순한 주가 급등 이상의 의미를 가졌어요. 이 사건은 금융 시장의 작동 방식과 권력 구조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졌고, 여러 방면에서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주요 영향과 결과를 살펴볼까요?
영향 분야 | 주요 변화 | 의미 |
---|---|---|
규제 및 감독 | 미 의회 청문회 개최, SEC의 조사 강화 | 거래 제한과 결제 시스템에 대한 감독 강화 |
투자 문화 | '밈 주식'이라는 새로운 투자 카테고리 등장 | 소셜 미디어 기반 투자의 영향력 증가 |
헤지펀드 산업 | 공매도 전략의 위험성 재평가, 일부 펀드 파산 | 극단적 공매도 포지션에 대한 신중함 증가 |
중개업체 | 로빈후드 신뢰도 하락, 다른 플랫폼으로 유저 이탈 | 거래 제한 및 투명성에 대한 요구 증가 |
게임스탑 | 증자로 자금 확보, e-커머스 전환 가속화 | 회사 생존과 전환의 기회 확보 |
대중 인식 | 금융 시스템의 불평등에 대한 인식 확산 | '월스트리트 vs 메인스트리트' 갈등 부각 |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미 의회에서 열린 청문회였어요. 키스 길, 로빈후드 CEO 블라디미르 테넵, 시타델의 켄 그리핀 등 사태의 주요 인물들이 증언대에 섰죠. 키스 길은 "저는 고양이가 아닙니다"라는 명언(?)을 남기며 자신은 단순히 주식이 좋았을 뿐이라고 말했어요. 이 발언은 인터넷 밈이 되었고, 그의 인기를 더욱 높였습니다.
로빈후드는 게임스탑 거래 제한 조치로 인해 많은 비판을 받았고, 사용자들의 집단소송에 직면했어요. 이 사건은 '무료 거래'의 이면에 숨겨진 비용과 이해관계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특히 '지불금 지불 주문 흐름(PFOF)'이라는 로빈후드의 수익 모델이 투자자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죠.
게임스탑 사태는 주식 시장의 본질적인 위험성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많은 개미 투자자들이 초기에 큰 수익을 올렸지만, 주가가 하락한 후 뒤늦게 합류한 투자자들은 상당한 손실을 입었습니다. 모든 투자는 신중히 결정하고, 잃어도 괜찮은 금액만 투자해야 합니다.
게임스탑 사태가 남긴 교훈
이 역사적인 사건은 투자자, 규제 기관, 기업들에게 여러 중요한 교훈을 남겼어요. 단순한 주식 광풍이 아니라 금융 시장의 작동 방식과 권력 구조에 대한 깊은 성찰을 불러일으켰죠. 주요 교훈들을 정리해봤습니다.
- 소셜 미디어의 힘: 레딧과 같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 개인 투자자들을 조직화하고 집단적 행동을 가능하게 만든다는 사실이 증명되었어요. 정보의 민주화와 커뮤니티 형성이 금융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졌습니다.
- 과도한 공매도의 위험성: 게임스탑 사례는 과도한 공매도가 얼마나 위험한 전략이 될 수 있는지 보여줬어요. 특히 유통 주식보다 많은 양의 공매도는 숏스퀴즈의 가능성을 크게 높입니다.
- 금융 시스템의 취약점: 로빈후드가 갑자기 거래를 제한한 사건은 현행 청산 시스템과 자본 요건의 문제점을 드러냈습니다. 극단적인 변동성 상황에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죠.
- 투명성의 중요성: '무료 거래'의 이면에 숨겨진 비용과 이해관계에 대한 투명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드러났어요. 로빈후드의 PFOF 모델과 같은 수익 구조가 더 많은 조사와 규제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 개미 투자자의 영향력: 개인 투자자들이 집단적으로 행동하면 대형 기관도 무너뜨릴 수 있다는 사실이 증명되었어요. 이는 금융 시장의 권력 구조에 대한 인식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 투자의 사회적 측면: 게임스탑 투자는 많은 참여자들에게 단순한 이익 추구가 아닌 "월가에 대한 반란"이라는 사회적, 정치적 의미를 가졌어요. 투자가 단순한 경제적 행위를 넘어 사회적 메시지를 담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습니다.
게임스탑 사태는 금융 역사의 한 장을 장식한 사건이 되었어요. 단순한 주가 폭등 이상으로, 디지털 시대의 금융 민주화와 권력 재분배의 가능성을 보여준 상징적인 사례입니다. 이 사건은 영화로도 만들어졌고('덤 머니'), 넷플릭스 다큐멘터리('게임 중지')로도 제작되었을 만큼 대중적으로도 큰 관심을 받았죠.
미국 내 투자자들의 인구통계학적 변화도 주목할 만해요. 게임스탑 사태 이후, 젊은 밀레니얼과 Z세대 투자자들의 참여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이들은 기존 세대와는 다른 투자 철학과 행동 패턴을 보이며, 금융 산업과 시장의 미래를 재구성하고 있어요. 앞으로 이들의 영향력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키스 길은 2021년 4월 16일 마지막으로 레딧에 업데이트를 올린 후 공개적인 활동을 중단했습니다. 그는 국회 청문회에서 증언한 것을 마지막으로 거의 공개적인 발언을 하지 않고 있어요. 그에 대한 집단소송은 2021년 9월 기각되었습니다. 많은 팬들은 그가 수백만 달러의 자산을 가지고 조용히 은퇴 생활을 즐기고 있을 것이라 추측하지만, 정확한 근황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그는 여전히 WSB 커뮤니티에서 전설적인 인물로 남아있으며, '로어링 키티'를 기억하는 밈은 지금도 자주 등장합니다.
게임스탑 주가는 2021년 1월 최고점인 $483에서 급격히 하락한 후, 여러 번의 변동성 있는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현재는 최고점 대비 크게 하락했지만, 사태 이전보다는 훨씬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요. 주가는 여전히 온라인 커뮤니티의 움직임과 회사의 디지털 전환 노력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게임스탑은 주가 급등 시기에 주식 발행을 통해 상당한 자금을 확보했고, 이를 바탕으로 e-커머스 기업으로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지만, 아직 실질적인 사업 모델의 성공을 증명하지는 못한 상태입니다.
로빈후드의 거래 제한 조치는 법적으로 불법으로 판명되지는 않았습니다. 회사는 청산소 요구사항과 자본 문제 때문에 불가피했다고 주장했고, 이후 여러 조사에서도 직접적인 불법 행위는 발견되지 않았어요. 그러나 이 조치로 인해 많은 투자자들이 손실을 입었고, 로빈후드에 대한 신뢰도는 크게 하락했습니다. 제한 조치 당시 음모론이 널리 퍼졌지만, 증권거래위원회(SEC)의 보고서는 시타델과 로빈후드 간의 공모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다만 거래 제한이 시장 무결성과 투자자 보호 측면에서 우려를 불러일으켰다는 점은 인정되었습니다.
키스 길을 비롯한 초기 투자자들과 타이밍 좋게 고점 근처에서 매도한 개인 투자자들이 가장 큰 수익을 올렸습니다. 그 외에도 블랙록과 같은 대형 자산운용사도 상당한 이익을 얻었어요. 라이언 코헨과 같은 게임스탑 이사회 구성원들도 자신들의 지분 가치가 크게 상승하여 이익을 봤습니다. 이와 함께 일부 헤지펀드들도 멜빈 캐피탈과 달리 공매도가 아닌 매수 포지션을 취해 이익을 얻었습니다. 현실적으로, 많은 개인 투자자들은 주가가 하락한 후에 합류하여 손실을 봤습니다. 투자의 성공은 대부분 타이밍과 진입/퇴출 시점에 달려 있었습니다.
비슷한 현상이 다시 일어날 가능성은 있지만, 정확히 같은 규모와 영향력을 가진 사건이 반복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게임스탑 사태 이후 헤지펀드들은 과도한 공매도 포지션에 더 신중해졌고, 규제 당국의 감시도 강화되었어요. 또한 중개업체들도 극단적인 변동성에 대비한 안전장치를 마련했습니다. AMC, 블랙베리 등 다른 '밈 주식'들도 비슷한 현상을 경험했지만 게임스탑만큼의 극적인 효과는 없었습니다. 그렇지만 소셜 미디어를 통한 개인 투자자들의 집단행동은 이제 시장의 영구적인 특징이 되었으며, 향후에도 특정 종목에서 예상치 못한 변동성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SEC(증권거래위원회)는 게임스탑 사태 이후 몇 가지 규제 검토를 진행했지만, 극적인 규제 변화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주요 논의 분야로는 결제 지불 주문 흐름(PFOF)의 투명성 강화, T+2 결제 시스템의 개선, 공매도 보고 요건 강화 등이 있었어요. 게리 겐슬러 SEC 위원장은 소셜 미디어를 통한 시장 조작 가능성과 게이미피케이션된 거래 앱의 영향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일부 의원들은 금융 거래세와 같은 더 강력한 조치를 제안했지만, 이러한 제안들은 아직 법제화되지 않았습니다. 전반적으로 규제 기관들은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시대의 투자 환경에 어떻게 대응할지 여전히 고민 중입니다.
마치며
게임스탑 사태는 정말 많은 것을 생각하게 만드는 사건이었어요. 저는 이 이야기를 정리하면서 금융 시장이 얼마나 복잡하고, 또 얼마나 감정적일 수 있는지 다시 한번 깨달았습니다. 월가의 전문가들이 모든 것을 알고 있다는 믿음이 깨지는 순간이기도 했고, 평범한 사람들이 모여 거대한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희망의 순간이기도 했죠.
솔직히 말하자면, 저도 그때 잠깐 게임스탑 주식을 사볼까 고민했었어요. 그 흥분되는 분위기에 휩쓸리지 않기가 정말 어려웠거든요. 다행히(?) 망설이다가 타이밍을 놓쳐서 참여하지 않았는데, 지금 와서 생각해보면 운이 좋았던 것 같네요. 저처럼 뒤늦게 합류했다가 큰 손실을 본 투자자들도 많으니까요.
이 사건의 진짜 의미는 주가가 얼마나 올랐는지, 누가 얼마나 벌었는지보다 더 깊은 곳에 있다고 생각해요. 금융 시장이 얼마나 불평등한지, 그리고 그 불평등에 맞서 일반 시민들이 어떻게 목소리를 낼 수 있는지 보여준 사례니까요. WSB 커뮤니티 사람들은 자신들을 '멍청이들'이라고 자조적으로 부르면서도, 월가의 엘리트들보다 더 현명한 판단을 내릴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여러분은 이 사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정의의 반란이었을까요, 아니면 그저 또 다른 투기였을까요? 혹시 직접 게임스탑 주식을 사고팔았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댓글로 여러분의 생각과 경험을 나눠주시면 정말 좋을 것 같아요!
다음 글에서는 게임스탑 이후 등장한 다른 '밈 주식'들과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비슷한 현상들에 대해 더 깊게 알아볼 예정이에요. 특히 도지코인이나 AMC 같은 사례들을 분석해보려고 합니다. 관심 있으시면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투자는 항상 자신의 판단으로, 감당할 수 있는 금액만큼만 하시길 바랍니다. 월가에 한 방 먹이고 싶은 마음은 이해하지만, 그래도 머리는 차갑게 유지하는 게 중요하니까요. 다이아몬드 핸즈도 좋지만, 가끔은 종이 손이 더 현명할 때도 있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